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이다. 4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선두차(Tc)-동력차(M')-동력차(M')-선두차(Tc) 형태로 연결된다. 101~121편성이 판암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2004년 1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1차 도입분이 반입되었다. 현재는 판암역과 반석역 구간을 운행하며, 측면 행선 표시기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다.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4량 1편성으로 운행하며, 편성은 반석 방면 선두차(Tc) 1량, 동력차(M') 2량, 판암 방면 선두차(Tc) 1량으로 구성된다 (Tc-M'-M'-Tc). 각 차량에는 고유 번호가 부여되는데, 특히 중간 동력차 중 하나인 15XX 호차는 초기 도입 시 13XX였으나 향후 6량 증결 운행에 대비하여 현재의 번호로 변경되었다.
2. 편성
2. 1. 차량 구성
4량 1편성으로 운행하며, 각 차량의 구성과 탑재된 주요 장치는 다음과 같다.
← 반석 ··· 판암 → | |||
---|---|---|---|
호차 | 차량 번호 | 차량 종류 | 주요 장치 |
1 | 10XX | 선두차 (Tc) | SIV(정지형 인버터),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15XX | 동력차 (M') |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 IM(유도전동기) |
3 | 12XX | 동력차 (M') |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 IM(유도전동기) |
4 | 11XX | 선두차 (Tc) | SIV(정지형 인버터), 공기압축기, 축전지 |
※ XX는 편성 번호 |
- 15XX 차량은 초기 도입 당시에는 13XX였으나, 향후 6량 증결 운행을 대비하여 현재의 차번으로 변경되었다.
3. 배속
101편성부터 121편성까지 총 21개 편성은 판암차량사업소 소속이며, 4량으로 편성되어 운행한다.
4. 구분
; 1차 도입분 (2004년 9월~2006년 4월), 101~121편성
2006년 3월 16일 1차 개통과 2007년 4월 17일 2차 개통을 대비하여 도입되었다. 차량은 2003년에 완성되었으며, 2004년 12월 27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모든 차량은 로템에서 제작하였다.
5. 현재 운행 구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판암역 ~ 반석역
6.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101 편성 | 2004년 | 임시 휴차 | 노후 차량 리모델링 후 2025년 1월 이후 운행 재개 예정. |
102 편성 | 2005년 | 운행 중 | |
103 편성 | 운행 중 | ||
104 편성 | 운행 중 | ||
105 편성 | 운행 중 | ||
106 편성 | 운행 중 | ||
107 편성 | 운행 중 | 1007호는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38114편성 381114호 열차에 사용되었던 도시바 IGBT로 교체될 예정. | |
108 편성 | 운행 중 | ||
109 편성 | 운행 중 | ||
110 편성 | 운행 중 | ||
111 편성 | 운행 중 | ||
112 편성 | 운행 중 | ||
113 편성 | 운행 중 | ||
114 편성 | 운행 중 | 118편성 열차에 사용되었던 백색 LED 전조등으로 교체 예정. 기존 전조등은 118편성에 전구색 LED로 이식 예정. | |
115 편성 | 2006년 | 운행 중 | 추진제어장치가 IGBT(IPM)에서 도시바 IGBT(PMSM)으로 교체될 예정. |
116 편성 | 운행 중 | ||
117 편성 | 운행 중 | ||
118 편성 | 운행 중 | 전조등이 114편성 열차에 사용되었던 전구색 LED로 교체 예정. 기존 전조등은 114편성에 백색 LED로 이식 예정. | |
119 편성 | 운행 중 |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38115~17편성 열차에 사용되었던 도시바 IGBT로 교체될 예정. 121편성은 LCD 안내표시기가 신형으로 교체될 예정. | |
120 편성 | 운행 중 | ||
121 편성 | 운행 중 |
7. 특이사항
(내용 없음)
7. 1. 측면 행선 표시기 가동 중단
개통 당시부터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초기에는 측면 행선 표시기를 가동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스크린도어 상판에 가려져 행선 표시기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모든 차량은 측면 행선 표시기를 끄고 운행한다.7. 2. 차내 안내 설비
차량 당 2개씩 전자노선도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의 진행 방향은 빨간색, 현재 위치는 초록색으로 표시된다. 출입문 위에는 노선도식 다음 역 안내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1량당 2개소 설치되어 있다.
7. 3. 좌석 배치
좌석은 18m 차량 기준으로 출입문 사이는 6인용, 차량 양쪽 끝 부분은 3인용으로 되어 있다. 좌석 위에는 선반이 없다.
참조
[1]
문서
현재 운행 중인 편성
[2]
문서
예정 편성
[3]
문서
예정 편성
[4]
문서
연속정격출력
[5]
문서
연속정격출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